반응형 극장4 메가박스 5년간 적자 1754억 - 심각한 극장 산업 진짜 심각하긴 하네. 어떻게 극복할런지... 2025. 3. 19. 레거시 미디어와 극장의 미래는? 20년 전만 하더라도 비디오 가게에서 영화 빌려 보고, 가끔 극장 가고, 만화 방이나 책 대여점에서 책 빌려보고... 이렇게 월 2~3만 원 정도의 문화 생활비를 지출했다. 지금 물가로 치면 월 7~8만 원 수준? 그런데 지금은 매월 넷플릭스(광고형)+쿠팡플레이+티빙을 함께 구독해도 2만 원을 넘지 않는다. 웹소설과 유료 웹툰을 즐기며 월 2~3만 원 추가 지불해도 월 5만 원 선. 유선 인터넷 비용까지 더해도 7만 원을 넘지 않는 세상이다. 앞으로 케이블 방송 서비스 해지는 더 가속화될 것이고, 공중파 방송은 간신히 명맥을 유지할 것으로 보임. 문제는 극장. 도심의 대형 상영관을 제외한 소규모 상영관들은 곧 사라지지 않을까? 다양한 작품이 나와줘야 하는데 헐리우드는 물론 우리나라도 그런 산.. 2025. 3. 19. <극장의 몰락> - 극장과 TV는 사라지게 될 것인가 요즘 극장 요금에 대한 말이 많다.평일 조조가 1만원이고, 주말 오후가 1만5천 원이라고 한다. (CGV 기준)그러면서 관객 수는 계속 하락 중이다. 왜 그럴까? 예를 들어 영화 관람이 취미인 사람이 있다고 치자.매주 주말 한 편의 영화를 극장에서 관람한다고 치면 매 월 6만원의 문화 생활비가 발생하게 된다. 주 2편을 보게 되면 12만원이다. 대략 10~15만원을 문화생활 취미 비용으로 지출하게 된다.만약 2인 커플이면 2배 (20~30만원) 다. 그런데 OTT라는 신세계 서비스가 등장했다. - 넷플릭스 광고형 : 5,500원- 티빙 광고형 : 5,500원- 웨이브 베이직 : 6,583원 1만7,583원이면 OTT 대표 서비스 3개를 이용할 수 있다. 그것도 무제한으로.(왜 광고형 요금제를 선택.. 2024. 8. 28. 호화청사에 낭비된 혈세 알차게 재태크하기 용산구청 1500억, 성남시청 3200억... 개인적으로 200억, 500억도 어마어마한 돈인데 도대체 1천억이 넘는 돈의 규모는 어떤 것일까? 새로 짓는 시청과 구청 몇 개면 1조원이 가뿐히 넘어간다. 내 생각엔 구청 건립에 5백억이면 충분하지 않을까 싶다. 그렇게 하면 1천억이란 돈이 남는다. 혈세 1천억원! 이 돈을 한 번 알차게 사용해보자. 앞으로 미래는 문화산업이다. 잘 만든 영화 한 편이 자동차 몇 만대 수출한 것보다 더 나은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국산 영화 산업에 투자해야한다. 그렇다면 무엇이 필요한가? 영화 제작비? 그것보다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할 것은 '한국영화 전용관' 이다. 세금 1천억원... 극장 스크린 1개 만드는데에 20억 정도가 들어간다고 하면 5개 스크린에 1백억. 1천억.. 2010. 4.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