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3. 11. 18:19
당시 만화가 주수입원은 단행본 판매금액.
당시엔 단행본 가격이 2000~3000원 정도.
지금까지 판매된 드래곤볼 판매 부수는 찾아보니 약 4억 2천만 부.
만화책 가격을 2500원이라고 하고...
이중에 절반인 약 1250원은 종이 등 순수한 인쇄 제작 비용.
판매 가격 중 20%는 소매상 수입.
1250-500 = 750 원
다시 판매 가격 중 10%는 도매상 수입.
750-250 = 500원
즉, 만화책 2500원 중 5백원이 출판사와 작가의 수입.
보통 작가의 인세는 책 판매 가격의 10%.
그러니까 토리아마 아키라가 만화책 1권을 팔면 받는 돈이 250원.
그런데 토리야마 아키라는 당대 최고의 인기작가였으므로
아마 최소 권당 3백원 정도 받지 않았을까 추측. 출판사가 2백원.
3백원 X 4억2천만 부 = 1천2백6십억원.
그런데 닥터슬럼프도 꽤 팔렸으므로 1천 5백억 이상을 벌었을 것으로 추정됨.
상대적으로 애니메이션 판권 등의 수입은 그렇게 크지 않을 듯...
뭐 세금을 제하더라도 1천억 정도의 재산은 가지고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문제는 그 돈을 어떻게 재테크했느냐 아닐까요?
20년 간 부동산이나 주식, 복리이자 등에 잘 투자했다면
수천억 혹은 1조원도 가능할 듯...
'시사 돋보기 > 사회 돋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이후의 세계는 어떤 모습일까 (0) | 2020.09.06 |
---|---|
좋은 쌀 고르는 방법 (0) | 2015.07.09 |
메르스(MERS) - 왜 우리나라만 전염력 강한가? (0) | 2015.05.31 |
토리야마 아키라의 재산은 얼마일까? (2) | 2015.03.11 |
간통죄는 왜 폐지되었나 (0) | 2015.02.28 |
국토순례 - 자동차 도로 순례 금지해야 (0) | 2015.01.13 |
병장 총기난사 5명 사망 - 황당한 군대내 사고 (2) | 2014.06.22 |
자영업 업소 실내 온도 26도 유지 비결 (0) | 2014.06.21 |
세월호 좌초 침몰 사고 - 주먹구구 대응이 참사 불렀다 (0) | 2014.04.16 |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는 '홈 어드벤티지' 없어야 (0) | 2014.02.25 |
안현수 귀화의 진짜 이유는? (0) | 2014.02.24 |
댓글을 달아 주세요
드래곤볼은 단행본이 저가이더 시절에만 팔린 게 아닙니다. 평균가 2500원이 문제입니다. 게다가 이는 국내 가격인데 세계 각국에서는 또 다르죠.
부가판권 시장 얕보시는데 엄청납니다. 비디오, dvd, cd, 블루레이 판권, 국내외 케이블, 공중파 전송료, 피규어, 인형, 생활용품 등 각종 캐릭터 시장, 극장판 계약까지 고료를 월등히 뛰어넘는 수입이 발생합니다.
예로, 헐리웃 애니메이션의 경우 극장 수입보다 부가 수입을 2~3배로 계상합니다.
일본에선 토리야마의 재산을 3천 억~3조 정도로 추정하더군요. 최소로 잡아도 3천 억은 충분히 넘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네.
어디서 보니 토리야마의 재산을 1조원 정도로 추산하더군요.
토리야마가 사는 동네에서 원고 납품 편하도록 공항까지 도로를 만들어줬다고 하니 (아마도 새로 도로를 까는데 토리야마 집 인근을 지나도록 설계를 변경한 것이 아닌가 추측) 충분히 1조원 이상의 소득 가능하리라 봅니다.
그리고 일본은 또 모르겠는데요. 우리나라의 경우 캐릭터 판권 자체의 소득이 그리 크지 않다고 하더군요. 만화책처럼 막 엄청난 수입이 보장되는 건 아니라는 거죠.
물론 그럼에도 국가마다 물가가 다르고, 또 영화나 공중파 애니의 판권까지 감안했을 때, 계약을 잘 했다면 최소 3천억 이상으로 계산하는 건 맞는 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