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예 돋보기/영화 돋보기76 메가박스 5년간 적자 1754억 - 심각한 극장 산업 진짜 심각하긴 하네. 어떻게 극복할런지... 2025. 3. 19. 레거시 미디어와 극장의 미래는? 20년 전만 하더라도 비디오 가게에서 영화 빌려 보고, 가끔 극장 가고, 만화 방이나 책 대여점에서 책 빌려보고... 이렇게 월 2~3만 원 정도의 문화 생활비를 지출했다. 지금 물가로 치면 월 7~8만 원 수준? 그런데 지금은 매월 넷플릭스(광고형)+쿠팡플레이+티빙을 함께 구독해도 2만 원을 넘지 않는다. 웹소설과 유료 웹툰을 즐기며 월 2~3만 원 추가 지불해도 월 5만 원 선. 유선 인터넷 비용까지 더해도 7만 원을 넘지 않는 세상이다. 앞으로 케이블 방송 서비스 해지는 더 가속화될 것이고, 공중파 방송은 간신히 명맥을 유지할 것으로 보임. 문제는 극장. 도심의 대형 상영관을 제외한 소규모 상영관들은 곧 사라지지 않을까? 다양한 작품이 나와줘야 하는데 헐리우드는 물론 우리나라도 그런 산.. 2025. 3. 19. '오토라는 남자 (2022)' 추천 이유 인생을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알려주는 영화. 코미디 영화인 줄 알았는데 코미디가 아님. 삶의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우리는 왜 함께 살아가야 하는가. 가족이란 무엇인가. 행복은 멀리 있지 않습니다. 주변을 둘러보세요. 쿠팡플레이 평점 4.7점. 2025. 3. 12. <극장의 몰락> - 극장과 TV는 사라지게 될 것인가 요즘 극장 요금에 대한 말이 많다.평일 조조가 1만원이고, 주말 오후가 1만5천 원이라고 한다. (CGV 기준)그러면서 관객 수는 계속 하락 중이다. 왜 그럴까? 예를 들어 영화 관람이 취미인 사람이 있다고 치자.매주 주말 한 편의 영화를 극장에서 관람한다고 치면 매 월 6만원의 문화 생활비가 발생하게 된다. 주 2편을 보게 되면 12만원이다. 대략 10~15만원을 문화생활 취미 비용으로 지출하게 된다.만약 2인 커플이면 2배 (20~30만원) 다. 그런데 OTT라는 신세계 서비스가 등장했다. - 넷플릭스 광고형 : 5,500원- 티빙 광고형 : 5,500원- 웨이브 베이직 : 6,583원 1만7,583원이면 OTT 대표 서비스 3개를 이용할 수 있다. 그것도 무제한으로.(왜 광고형 요금제를 선택.. 2024. 8. 28. 영화 <베일리 어게인> 시청 후기 헬로TV에 무료 영화로 올라와서 시청하게 되었습니다. TV 영화 프로그램에서도 예고를 본 적 있거든요. 이 영화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이겁니다. 오직 애견인들을 위한 영홥니다. 지금 개를 키우고 있거나 과거 키우던 개가 죽어서 상처가 있는 분들에게는 엄청난 힐링이 되는 영화죠. 그냥 그겁니다. 2019. 5. 1. 영화 <버닝> 결말 해석 영화 내용의 가 될 수 있으니 영화를 보고 난 후에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아마도 영화를 보고 나서 검색을 통해 이 글을 보러 오겠지만 말입니다) 이 영화는 마치 문학소설 같은 작품입니다.여기저기 가 넘치고 있죠.그래서 재미가 있고, 이창동 감독이 왜 대단한지를 알 수 있는 영화입니다. 영화 내용 해석에 대한 좋은 글들이 많기 때문에 (사실 저도 그런 글들을 보고 영화를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만) 저는 오직 영화의 결말에 대한 것만 이야기 하겠습니다. 는 이 죽였을까요? 벤은 두 달에 한 번 비닐하우스를 태운다고 했습니다. 낡은 비닐하우스. 그건 마치 해미나 해미처럼 가족이 없는 외로운 여성을 뜻하죠. 그리고 태운다는 것은 곧 을 의미합니다. 시신을 태워서 없애면 증거가 남지 않죠. 만약 그냥 사귀다가.. 2019. 2. 7. '서던 리치: 소멸의 땅' (Annihilation, 2018) - 결말 해석 이 글은 영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반드시 영화를 보시고 나서, 영화 내용이 이해가 안 가신다면 참고하여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 우선 영화를 재미있게 보기 위해 알아야할 지식. 지구상에 최초의 DNA가 어떻게 나타났는지가 과학계의 최대 난제이다.그 가능성 중 가장 확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하는 건 우주에서의 유입설이다. 우주에 떠돌던 DNA를 가지고 있던 무언가가 지구의 바다에 떨어지고, 그것이 진화하여 지금의 동식물을 만들었을 거란 추측이다. 실제로 지구상의 모든 동식물은 태초에 단 하나의 DNA에서 시작되었다.예전에는 바다에서 자연발생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중간 과정을 실험으로 증명하지 못해서 이 가설은 현재 논의되지 않고 있다. (외계인 방문설도 있는데 그것은 영화 '프로메테우스'의 시작 부분에 .. 2018. 6. 2. <에이리언:커버넌트> - 데이빗이 엔지니어를 죽인 이유 아마 다음 편에 그 이유가 나올 것입니다만, 대략 추정해보자면... 웨이랜드 회장은 데이빗을 만들고, 자신이 데이빗의 아버지라고 칭합니다.아마 데이빗은 웨이랜드 회장을 아버지로 생각하게끔 프로그래밍되어 있었겠죠.그러니까 자식들이 자기 부모를 생각하는 그럼 감정이 프로그래밍 되어 있었을 겁니다. 그런데 에서 웨이랜드 회장은 엔지니어들에게 죽게 되죠.그러자 데이빗은 자기 아버지를 죽인 엔지니어들에게 복수를 결심하게 되었을 겁니다.자식들이 자기 부모의 원수를 갚으려는 그런 감정인 거죠. 그래서 데이빗은 엔지니어의 행성에 도착했을 때 웨이랜드 회장의 복수를 하게 됩니다.아마 그렇게 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 되어 있었을 겁니다.그래서 그 죽음의 검은 물질로 전부 죽여버립니다.그냥 데이빗의 목적은 그것이었던 거죠. .. 2017. 7. 8. 에일리언 커버넌트 - 엔지니어는 왜 인류를 없애려 했을까? 사실 프로메테우스의 가장 강력한 떡밥이기도 했습니다.'엔지니어는 왜 인류를 창조하고, 인류를 없애려 한 것일까?' 그런데 그 이야기가 나올 거 같았던 '에이리언 : 커버넌트'에서는 나오지 않네요.그래서 이 영화를 보고 나서 나름 추측을 해봤습니다. 우선 엔지니어들의 본진 행성은 오래된 행성입니다. 수명이 다 했다고 볼 수 있죠. 영화에서 보면 기후도 아주 그지 같습니다. 이온 폭풍인지 뭔지가 막 난리를 칩니다.때문에 엔지니어들은 자신들이 이주할 행성을 만들려고 했을 겁니다. 그래서 엔지니어들의 선조들은 지구와 같은 행성 여러 곳에 자신들의 DNA를 뿌려서 자신들의 행성과 환경이 비슷하도록 만듭니다. 그런데 그런 행성은 하나가 아닌, 무려 일곱개나 만들었고, 그 중에 이주할 행성이 정해진 거 같습니다. 그.. 2017. 5. 13. 이전 1 2 3 4 ··· 9 다음 반응형